인민대학습당 홈페지 - 《남산》

녀성해방가

100 49

[ 02:38 ] 0

해당화

100 49

[ 03:50 ] 0

봄이 왔네

100 49

[ 03:35 ] 0

사랑가

100 49

[ 04:04 ] 0

어머니가 난 좋아

100 49

[ 02:48 ] 0

내 사랑할 처녀

100 49

[ 01:51 ] 0

걱정많은 우리 엄마

100 49

[ 02:53 ] 0

고구려의 무용의상에 대하여

고구려의 무용의상에 대하여

고구려의 무용의상에 대하여

무엇보다먼저 고구려무용의상은 일상옷차림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해당 무용의 성격에 따라 형식이 다양하였다.

또한 고구려무용의상은 웃옷과 아래옷의 색대조를 강하게 주었다.

다음으로 고구려무용의상은 금구장식과 기하무늬, 색천으로 장식을 화려하게 하였다.

무용의상에 금구장식을 적용하여 꾸밈새를 화려하게 하였다.

무용의상들의 옷무늬에는 기하무늬들을 조밀하게 장식하여 장식성을 높이였다.

고구려무용의상들은 여러가지 색갈과 모양의 띠, 한삼 등으로 무용의 형상성을 높이기도 하였다.

기사보기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승마경기‐격구와 마상재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승마경기‐격구와 마상재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승마경기‐격구와 마상재

―격구

격구란 말타고 진행하는 경기로서 방법은 여러명이 두패로 나뉘여 각기 마당가운데 있는 공을 향해 일제히 말을 몰아 맨 먼저 공을 차지한 사람이 상대방 공문우로 공을 채로 쳐내는 경기이다.

이 경기는 저마끔 공을 쫓아서 가는데 능숙한 말몰이기술과 완력, 재치있는 장치기기술을 요구한것으로 하여 고려시기와 조선봉건왕조시기 기병들속에서 활발히 진행되였다. 그것은 격구가 말타고 하는 활쏘기와 칼쓰기, 창쓰기의 묘리를 체득하는데서 필요한 경기종목으로 인정되였기때문이다.

―마상재

마상재란 말그대로 달리는 말우에서 재주를 부리는것인데 서서 달리는 동작, 말안장을 잡고 좌우로 몸을 뒤채기도 하고 말에 매달려 발을 땅에 끄는 동작, 달리는 말안장우에 등을 돌려대고 옆으로 눕는 동작, 거꾸로 서있는 동작, 말배때기에 붙어 몸을 숨기는 동작 등 다양한 동작들이 진행된다.

이러한 마상재는 사람들이 아이적부터 하는데 고구려시기때부터 시작되고 고려시기에 와서 보다 성행하였다.

기사보기

은정차

은정차

은정차

기사보기

피부가려움증을 손쉽게 없애는 방법

피부가려움증을 손쉽게 없애는 방법

피부가려움증을 손쉽게 없애는 방법

피부가 몹시 가려울 때 보드라운 소금으로 문지르면 가려움이 없어진다.

잔등, 팔, 다리 등의 가려운 부위에 1g정도의 보드라운 소금을 대고 문지르면 된다.

머리가 가려울 때에는 끓인 소금물로 적시면서 바른다.

먼저 머리를 감고 끓인 소금물로 가볍게 비벼 바른 다음 얼마동안 있다가 씻어내면 더 좋다.

이렇게 소금으로 문지르면 피부각질층의 낡은 세포가 새로운 세포로 바뀌여져 피부가 부드러워지고 보통 10~15일 지나서 가려움증이 없어진다.

기사보기

코를 잡고 약을 먹이면

코를 잡고 약을 먹이면

코를 잡고 약을 먹이면

어린이의 코를 잡고 억지로 약을 먹이면 약물이 호흡기로 들어가 기침이나 호흡곤난 또는 목이 쉬는 증상이 나타날수 있다.

만약 약물이 많으면 질식상태에 처할수도 있다.

그리고 어린이들은 가끔 침이나 음식이 숨길쪽으로 잘못 들어가서 갑자기 재채기처럼 뿜어나오며 기침을 하는 현상이 있는데 페염을 앓고있는 경우에는 병세가 더 악화될수 있다.

기사보기

설명절과 우리 인민의 미풍량속

설명절과 우리 인민의 미풍량속

설명절과 우리 인민의 미풍량속

우리 인민은 해마다 설명절이 오면 조상과 웃사람에게 인사를 드리고 동무들이나 아래사람들과도 인사를 나누며 앞날을 축복해왔다.

설명절에는 차례와 세배를 비롯한 여러가지 인사례절이 있는데 차례는 돌아간 조상들에게 드리는 인사이며 세배는 설명절 이른아침에 웃어른들에게 하는 인사이다.

설명절을 맞으며 우리 인민은 집안팎을 깨끗이 거두고 새옷과 특별히 음식을 마련하였다.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명절인 설명절에 이채를 띠는 민속놀이에는 윷놀이와 널뛰기가 있다.

윷놀이는 고대시기부터 우리 인민들이 즐겨 놀기 시작하였는데 당시 국가관직들인 저가, 구가, 우가, 마가 등에서 유래된 놀이라고도 하며 짐승들의 크기와 달리는 속도에 따라 돼지는 《도》, 개는 《개》, 양은 《걸》, 소는 《윷(슝)》, 말은 《모》라는 뜻에서부터 생겨난 놀이라고도 전해오고있다.

널뛰기에는 높이뛰여오르기와 재주부리기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