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대학습당 홈페지 - 《남산》

애국가

100 49

[ 02:36 ] 0

나의 선생님

100 49

[ 04:44 ] 0

단숨에

100 49

[ 02:39 ] 0

사랑하노라

100 49

[ 03:59 ] 0

조국의 품

100 49

[ 06:25 ] 0

우리는 빈터에서 시작하였네

100 49

[ 04:17 ] 0

우리의 국기

100 49

[ 06:54 ] 0

인민공화국선포의 노래

100 49

[ 04:39 ] 0

웃음꽃이 만발했네

100 49

[ 02:49 ] 0

조선민속박물관(4) 식생활풍습

조신민속박물관(4) 식생활풍습

조신민속박물관(4) 식생활풍습

기사보기

라선시 라진지구에서 발굴된 무창동자기가마터

라선시 라진지구에서 발굴된 무창동자기가마터

라선시 라진지구에서 발굴된 무창동자기가마터

기사보기

력사를 통해 본 조선민족악기들

력사를 통해 본 조선민족악기들

력사를 통해 본 조선민족악기들

기사보기

민족음식-떡

민족음식-떡

민족음식-떡

기사보기

조선의 특산 개성고려인삼

조선의 특산 개성고려인삼

조선의 특산 개성고려인삼

기사보기

금강산과 그의 사계절이름

금강산과 그의 사계절이름

금강산과 그의 사계절이름

천하절경 금강산은 예로부터 때와 장소, 보는 사람의 마음가짐에 따라 천태만상으로 모습을 달리한다고 하여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워왔다.

고대에는 신선들이 사는 산이라고 하여 선산으로, 세나라시기에는 풍악(단풍 풍, 메부리 악)으로 불리웠다.

후기신라때에는 개골(다 개, 뼈 골) 또는 새하얀 메부리가 서리발 같다는 의미에서 상악(서리 상, 메부리 악)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15~16세기경부터는 봉래산이라는 이름도 붙여졌다.

그후 금강산을 먼곳에서 바라보면 금처럼 빛나고 굳세며 아름다운 보석처럼 보인다고 하여 금강산(쇠 금, 굳셀 강)으로 부르게 되였다.

금강산의 1만 2천봉우리들과 명소들에 붙여진 삼선암과 같은 이름은 우리 조상들속에서 전해져내려온 신선숭배사상으로부터 유래된것이며 오선봉, 석가봉, 세존봉, 명경대와 같은 이름들은 중세에 불교가 널리 전파되면서 불교의 영향밑에 생겨난 이름이라고 한다.

금강산은 계절에 따라 그 모습이 변하여 꽃피는 봄철에는 금강산이라고 하였으며 록음이 우거진 여름철에는 쑥이 무성하다는 뜻에서 봉래산(봉우리 봉, 쑥 래)이라고 불렀다.

가을철 금강산의 이름은 풍악산인데 이것은 단풍으로 붉게 물든 1만 2천봉우리의 풍경을 표현한것이며 겨울에는 나무잎이 다 떨어져 앙상한 뼈처럼 암석들만 남아있다고 하여 개골산이라고 하였다.

계절에 따르는 금강산의 이러한 이름은 17세기경부터 고착되게 되였으며 그때까지 불리워오던 선산, 상악 등 여러가지 이름들은 거의 쓰이지 않게 되였다.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