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book_logo
책표지-三國史記 _0
책표지-三國史記 _1
책표지-三國史記 _2
책표지-三國史記 _3
책표지-三國史記 _4
책표지-三國史記 _5
책표지-三國史記 _6
책표지-三國史記 _7
책표지-三國史記 _8
책표지-三國史記 _9
책표지-三國史記 _10
[기본제목] 三國史記 [권책수] 50卷9册 [번역제목] 삼국사기 [기본저자] 金富軾 [발행년도] 1931 [발행지] 京城 [판본] 영인본 [본문언어] 한문 [행자수] 중자9행6자소자쌍행38자 [흑구] 대흑구 [어미] 상하내향흑어미 [반광크기] 18.8×17 [광곽] 사주단변 [장정] 선장 [책크기] 30.5×21 [종이질] 양지 [형태주기] 상하내향흑어미가 일부 있음
[해제]

《삼국사기》는 1145년에 고려의 봉건관리 김부식(1075-1151)이 편찬한 책으로서 오늘까지 전하는 우리 나라 력사책가운데서 가장 오랜것이다. 모두 50권으로 되여있다. 서술체계는 봉건시기 력사서술에서 전통적방법으로 되여있던 기전체이며 기, 표, 지, 렬전으로 분류되여있다. 제1권부터 제12권까지 신라본기. 제13권부터 제22권까지 고구려본기, 제23권부터 제28권까지 백제본기, 제29권부터 제31권까지 년표, 제32권부터 제40권까지 잡지(제사, 음악, 의복, 수레, 그릇, 집, 지리, 관직), 제41권부터 제50권까지 개인전기를 실은 렬전으로 되여있다. 본기에는 삼국 각 왕대의 중요한 력사적사실들이 편년체로 서술되여있다. 년표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각 왕들의 통치년대를 중국 력대왕조들의 통치년대 및 간지와 대비하여 표시해놓았다. 지에는 제사지, 악지, 색복지, 거기지, 기용지, 옥사지 등으로 되여있다. 렬전에는 봉건적인 정치도덕표준에 의하여 이름있는 대신, 장군, 학자, 문인들과 충의, 효행, 렬녀, 서화 및 반역 등 항목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렬거하였다. 《삼국사기》는 우리 나라의 귀중한 민족고전가운데서 현존하는 가장 오랜 력사책의 하나로서 삼국시기의 력사를 체계정연하게 서술하고있는 점에서 큰 사료적가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