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봉건왕조 국왕의 칭호 《조》와 《종》

조선봉건왕조 국왕의 칭호 《조》와 《종》

일반적으로 봉건사회에서 국왕의 호칭은 크게 왕이 살아있을 때 부르던 이름인 생호와 죽은 다음에 부르던 이름인 시호로 갈라볼수 있다.

조선봉건왕조 국왕의 칭호 《조》와 《종》은 국왕이 죽은 다음에 부르는 시호, 정확하게는 묘호이다. 시호는 봉건사회에서 임금이나 2품이상의 관리, 공신, 이름있는 유학자가 죽었을 때 그의 생전의 공적과 덕행을 칭송하여 추종하는 이름을 말하며 묘호는 봉건사회에서 국왕이 죽은 뒤에 그의 신주를 종묘(왕실사당)에 안치하고 생전의 공덕과 덕행을 종합하여 부르는 칭호이다.

조선봉건왕조 27명의 국왕들중에서 《태조》, 《세조》와 같이 《조》로 불리우던 국왕이 7명이고 《정종》, 《고종》과 같이 《종》으로 불리우던 국왕이 18명이며 마지막까지 왕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쫓겨난 왕으로서 《군》칭호로 불리우던 국왕이 2명이였다.

그러면 묘호를 정함에 있어서 어떤 왕에게 《조》자를 붙이고 어떤 왕에게는 《종》자를 붙였는가.

이에 대하여 한마디로 말하면 공로를 세운 왕에게는 《조》자를, 덕이 있는 왕에게는 《종》자를 붙이는것이 일반적인 원칙이였다.

대체로 《조》자는 처음으로 나라를 세웠거나 봉건지배계급의 립장에서 볼 때 커다란 공적을 세운 왕 또는 임금의 대가 끊기였거나 전 임금이 마지막까지 왕자리를 지키지 못하고 왕자리에서 쫓겨난 후 새로 임금자리에 올라선 왕들에게 붙이였다.

그리고 포악한짓을 많이 하다가 쫓겨간 임금에게는 죽은 다음에 묘호를 정하지 않았고 살아있을 때 받았던 《군》칭호를 그대로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