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민족의 자랑-민속무용

우리 민족의 자랑-민속무용

우리 인민들은 인류력사의 려명기로부터 가무를 즐기면서 다양한 생활과 아름다운 풍습을 반영한 수많은 민속무용들을 창조하였다.

그가운데는 로동생활을 비롯한 다양한 생활을 반영한것도 있고 인간관계와 풍속을 형상한것도 있다.

로동생활을 반영한 민속무용들만 보아도 풍년을 마련한 기쁨과 환희, 다음해의 풍작을 바라는 마음을 담아 추던 농악무와 농경가무들, 어업로동생활을 반영한 《봉죽놀이》, 《어부춤》, 수공업적로동생활을 반영한 《길쌈춤》, 《야장춤》 등 그 유산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민속무용에는 우리 민족의 슬기와 재능, 고유한 정서적미감이 집중적으로 반영되여있다.

음악정서적감수성과 률동적표현력이 남달리 뛰여난 우리 선조들은 민족의 고유한 정서적미감을 독특한 춤기법으로 형상하는데서 뛰여난 예술적재능과 슬기를 보여주었다.

우리 인민들은 춤판에서 주로 어깨를 으쓱으쓱하고 발을 들썩들썩하며 둥실둥실 돌아가거나 팔을 너울너울하며 건드러지게 춤추었는데 그 하나하나의 춤가락들은 자세와 동작, 흐름새와 률동에서 세계 그 어느 민족에게서도 찾아볼수 없는 고유한 민족적특성을 짙게 나타내고있다.

우리 인민들이 즐긴 민속무용은 다채로운 장단연주와 배합된 춤가락들이 많은것으로 하여 장단성이 강하고 흥취있으며 건드러진것이 특징이다.

그러한 민속무용들가운데는 북춤, 장고춤, 소고춤, 꽹과리춤과 같이 타악기를 치면서 흥겹게 추는 춤이 많으며 물장고춤, 지게목발춤, 바가지춤과 같이 생활도구를 가지고 장단을 치며 추는 춤들도 있다.

우리의 민속무용은 지방적특색도 강하다.

《돈돌라리》, 《닐리리춤》, 《강강수월래》, 《봉산탈춤》과 같이 해당 지방마다 고유한 춤들이 많으며 전국각지에서 널리 추어진 농악무와 탈춤도 춤가락과 춤구성에서는 지방마다 특색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