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지는 녀자의 손가락에 끼는 장식물로서 안쪽은 평평하고 겉은 퉁퉁하게 만든 두짝의 고리로 되여있으며 한짝으로 된것은 반지라고 한다.
오랜 력사적기간에 걸쳐 가락지는 결혼한 녀자만이 사용할수 있었고 미혼녀자는 반지를 사용하였다.
가락지는 원시대의것으로 알려진 조가비로 만든것이 나온 사실로 보아 그 력사가 매우 오래다는것을 알수 있다.
고대에 나온 가락지의 재료로는 금과 은, 청동을 기본재료로 리용하였다.
가락지를 착용하는 풍속은 고려, 조선봉건왕조에로 계승되였는데 조선봉건왕조시기에는 유교가 지배적인것으로 되면서 혼례를 인간대사의 중요한 공정의 하나로 삼았기때문에 사랑과 결혼을 상징하는 표식으로 그 의미가 더욱 강조되였다.
이 시기 가락지의 재료로는 금 또는 은을 많이 사용하였고 그외에 옥, 마노, 호박, 비취, 진주, 공작석 등도 리용하였다.
조선봉건왕조시기 통치배들은 계절에 따라 다양한 재료의 가락지를 끼였으며 금이나 은과 같이 재료가 좋은 가락지는 량반집녀성들이 끼였고 그와 반면에 백동가락지나 청동가락지는 평민녀성들이 착용하였다.
이처럼 가락지는 우리 녀성들의 중요한 치레거리의 하나로 그리고 사랑의 징표, 결혼의 상징으로 간주되여 오랜 력사를 거쳐 널리 리용되여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