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book_logo
Book cover-奎章閣志_0
Book cover-奎章閣志_1
Book cover-奎章閣志_2
Book cover-奎章閣志_3
Book cover-奎章閣志_4
Book cover-奎章閣志_5
Book cover-奎章閣志_6
Book cover-奎章閣志_7
Book cover-奎章閣志_8
Book cover-奎章閣志_9
[Main Title] 奎章閣志 [Volume Number] 卷1~2 [Volume Length] 2卷1册 [Translated Title] 규장각지 [Xylographica] 필사본 [Text Language] 한문 [Line Chars] 중자10행18자 [Parent] 무어미 [Half Size] 22×16.1 [Light Case] 사주쌍변 [Binding] 선장 [Book Size] 30.4×21.9 [Paper Quality] 백지
[Summary]

1777년 9월-1784년 6월에 서명응이 편찬한 규장각에 관한 책.1784년에 규장각에서 2권으로 출판하였다. 이 책의 1권은 총 5개의 항목(건치조, 직관조, 봉안조, 편차조, 도서조)을 설정하고 주로 규장각의 일반적인 규례를 주었다. 건치조에서는 내각, 직원, 외각으로 나누고 규장각의 창설유래와 서고의 구분, 규장각에서의 사무처리 그리고 규장각의 외각으로서 교서관과 강화외각의 연혁과 기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직관조에서는 규장각의 관직제도와 그 절차에 대하여 기록한 차제, 규장각 관리들의 겸직제도에 대하여 서술한 례겸으로 갈라 기록하였다. 봉안조에서는 봉모훈, 봉어진으로 나누고 국왕들의 문헌들과 화상, 그림, 지시문, 인장, 족보류들을 보관관리하는 절차와 의식을 기록하였다. 편차조에서는 국왕이 쓴 글종류에 22가지가 있다는것을 하나하나 들면서 그것을 편집정서하는 방식을 기록한 회최, 력대 국왕들의 저작을 보관하는 의식을 기록한 봉장, 도서출판에서 활판인쇄와 목판인쇄의 사용과 그 방법에 대하여 기록한 간인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도서조에서는 장서, 편서, 진서, 쇄서로 나누고 책을 편집하고 보관관리하며 도서들을 배포하는 방식과 1년에 한번씩 해빛소독시키는 절차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특히 당시 우리 나라와 이웃나라들에서 써오던 도서분류법인 4분류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였으며 그 방식에 따라 규장각에서 도서를 분류하였다. 2권은 1권의 련속으로 3개의 항목(산습조, 원규조, 사실조)을 설정하였다. 산습조에서는 초계, 강제, 친림, 상벌로 소항목을 설정하고 규장각에서 근무하는 관리들에게 실시하는 시험과 강독용도서명을 들고 평가방식을 주었고 시험문제로는 30가지를 들었다. 원규조에서는 선교, 반서, 표직, 전최, 기거, 헌의, 대찬, 진전, 차소, 주계, 예지, 일력, 잡식으로 나누고 규장각의 여러 규정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특히 잡식에서는 당시 규장각에서 보유하고있던 활자가 임진자, 정유자, 임인자를 모두 합하여 38만자에 달하였다는것을 밝혔다. 사실조에서는 신조, 기적으로 나누고 규장각의 연혁과 력대 문장가들의 저작들을 통하여 선대의 모범을 상고한데 대하여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규장각지》는 2권에 걸쳐 8개 항목으로 나누어 규장각의 창설로부터 기능, 직제, 의식절차에 이르기까지 규장각에서 진행하는 모든 일들을 기록하였다. 《규장각지》는 조선봉건왕조 후반기 나라의 정치문화발전에 큰 기여를 한 규장각에 대하여 쓴 책으로서 당시의 도서보관 및 출판간행제도, 문화정책 등에 대한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적가치를 가진다.